본문 바로가기

수업 전문성2

우리가 경험한 좋은 과학 수업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과학 교수학습에 대해서 소개하기 전에 이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알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다음 질문을 해보았다. "기억에 남는 아주 좋은 과학 수업은 무엇이었는가? 그 수업은 어떤 특성이 있었는가?" 이 질문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것을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1) 학생으로서 느끼는 좋은 과학 수업은 어떤 것인지? (2) 좋은 수업의 특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3) 좋은 수업을 판단하는 학생들의 기준은 무엇인지? 개인별로 위 질문에 답을 한 후에는 소집단 토의를 통해서 각자가 생각하는 좋은 수업을 소개하고, 그 이유에 대해서 토의를 하도록 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소집단에서 선정한 좋은 수업을 발표하는 기회도 가졌다. 학생들이 좋은 수업으로 .. 2022. 9. 4.
과학 수업 전문성 다양한 과학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학 수업을 비교하고 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과학 수업의 질을 판단하고 바람직한 수업을 위한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면 수업전문성 발달을 위해서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과학교사 전문성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의 Charles Anderson(2004) 교수는 과학 수업에서 과학 탐구의 본질을 잘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즉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은 과학 활동의 본질적 특성을 경험해야 한다. 과학활동의 본질적 특성으로는 Niels Bohr가 과학을 “경험의 세계를 넓히고 이를 질서로 환원하는 것”이라고 정의한 것을 활용하였다. 즉, 과학 활동이란 인간의 경험을 일상적.. 2021.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