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추2

귀추법 귀추법은 미국의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퍼스(C. Peirce: 1839~1914)가 처음으로 제안하였으며, Hanson을 비롯한 다른 학자들에 의해 더 정교화되었다. 귀추적 사고의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떤 놀라운 현상(들), P(p1, p2 p3, ...),이 관찰된다. 2. 만일 가설 H가 참이라면, P(p1, p2 p3, ...)는 당연한 것이 되고, H를 이용하여 이를 설명할 수 있다. 3. 따라서 가설 H가 참이라고 생각할 좋은 이유가 있다. 지구과학 탐구 사례를 귀추법을 적용하여 생각해보자. 1.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킴벌리 지역에 있는 화도(volcanic pipes)에서 다이아몬드가 많이 산출된다. (q) 2. 탄소는 산소가 없으며, 압력이 55kb 이상, 온도가 1,00.. 2021. 9. 25.
과학탐구학습모형 4: 귀추적 탐구학습 모형 귀추적 탐구학습 모형은 귀추적 사고 과정에 초점을 두어 탐구 활동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한 학습 모형이다. 이 모형은 '탐색,' '조사,' '선택,' '설명'이라는 네 단계로 구성된다[그림 1]. 탐색 단계에서 학생들은 현상을 관찰하고, 놀라운 현상을 발견하고, 관찰하며, 이를 기술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이 필요한 문제를 인식하게 된다. 두번째 단계인 조사 단계에서는 앞 단계에서 인식한 문제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조사하거나, 스스로 가설을 세우게 된다. 탐색 단계에서 관찰한 자료를 바탕으로 중요한 관련 현상이나 사실과 관련된 과학 원리나 이론을 조사한다. 또한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해답으로서 가설을 설정한다. 지구과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규칙들의 목록을 추리해 내는 것이 이 .. 2021.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