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과학7

과학 교수-학습 과정안 교수-학습 과정안은 수업 단위의 학습 지도 계획이며, 그동안 수업지도안, 교안, 수업계획안 등으로 불렸다. 수업지도안이 교사 주도적인 수업을 강조하던 과거의 흐름에 따른 이름이라면, 교수-학습 과정안은 보다 학생 중심적이고, 구성주의적인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면 수업 전에 수업의 전반적인 모습과 구체적인 부분에 대해서 생각할 기회를 갖게 된다.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특성과 참여를 예측해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수업의 흐름과 과정을 준비하고, 필요한 준비물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과정 중심 평가 준비를 통해서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이해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피드백을 준비할 수 있다.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는 것은 수업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2021. 10. 28.
과학수업의 계획: 단원 지도 계획 단원 지도 계획은 학년 지도계획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사이 수준에 위치한다. 학년이나 학기 지도계획 수립을 통해서 전체적인 계획을 완성한 후에는 단원계획을 세울 수 있다. 교사용 지도서의 단원 지도계획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단원은 2015 교육과정의 영역 수준에 해당한다. 중학교 과학에는 한 학년에 8개 내외의 단원이 있으며, 지구과학 I은 고체지구, 대기와 해양, 우주의 3개의 단원이 있다. 학교급이 올라갈 수록 단원의 수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단원 지도 계획 단원 지도 계획은 학년이나 학기 지도 계획과 같은 장기계획과 부합되어야 하며, 해당 단원 전체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조망을 할 수 있도록 단원의 내용과 특성을 반영한다. 단원 지도 계획에 포함되는 요소는 단원의 성격, 단원의 목표, 단원 .. 2021. 10. 27.
(지구)과학과 과정 중심 평가 계획하기 과정 중심 평가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과 긴밀하게 연계된다. 따라서 과정 중심 평가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5교육과정은 역량중심 교육과정이라고 불릴만큼 핵심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2015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총론의 핵심역량으로 모든 교과의 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이 길러야 하는 일반적인 능력으로,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이다. 한편 교과를 통하여 각 교과의 핵심개념과 사고 및 탐구 기능 학습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교과 역량을 기를 수 있다. 과학과 역량으로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 2021. 10. 17.
귀추법 귀추법은 미국의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퍼스(C. Peirce: 1839~1914)가 처음으로 제안하였으며, Hanson을 비롯한 다른 학자들에 의해 더 정교화되었다. 귀추적 사고의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떤 놀라운 현상(들), P(p1, p2 p3, ...),이 관찰된다. 2. 만일 가설 H가 참이라면, P(p1, p2 p3, ...)는 당연한 것이 되고, H를 이용하여 이를 설명할 수 있다. 3. 따라서 가설 H가 참이라고 생각할 좋은 이유가 있다. 지구과학 탐구 사례를 귀추법을 적용하여 생각해보자. 1.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킴벌리 지역에 있는 화도(volcanic pipes)에서 다이아몬드가 많이 산출된다. (q) 2. 탄소는 산소가 없으며, 압력이 55kb 이상, 온도가 1,00.. 2021.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