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과학 교육자를 위한 내용24

우리가 경험한 좋은 과학 수업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과학 교수학습에 대해서 소개하기 전에 이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알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다음 질문을 해보았다. "기억에 남는 아주 좋은 과학 수업은 무엇이었는가? 그 수업은 어떤 특성이 있었는가?" 이 질문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것을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1) 학생으로서 느끼는 좋은 과학 수업은 어떤 것인지? (2) 좋은 수업의 특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3) 좋은 수업을 판단하는 학생들의 기준은 무엇인지? 개인별로 위 질문에 답을 한 후에는 소집단 토의를 통해서 각자가 생각하는 좋은 수업을 소개하고, 그 이유에 대해서 토의를 하도록 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소집단에서 선정한 좋은 수업을 발표하는 기회도 가졌다. 학생들이 좋은 수업으로 .. 2022. 9. 4.
사회적 구성주의와 과학학습 예시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사용하면 과학 학습을 더 폭넓게 그리고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회적 구성주의에 의하면 학습은 사회적 평면에서 1차적으로 일어나고, 그 다음에 개인적 차원의 내면화 또는 자기화 과정이 2차적으로 일어난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과 교수가 공존하게 된다. 이 예시는 Philip H. Scott(1997)의 영국 리즈대학교(U of Leeds) 박사학위 논문의 일부를 발췌하여 번역하고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적절히 재구성한 것이다. 학습 주제는 대기압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영국의 8학년(우리나라의 중학교 2학년에 해당됨)이다. 내용은 세 부분으로 되어있다. 연구의 일환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 사전 조사 과정을 거쳤다.. 2022. 6. 7.
과학 교수-학습 과정안 교수-학습 과정안은 수업 단위의 학습 지도 계획이며, 그동안 수업지도안, 교안, 수업계획안 등으로 불렸다. 수업지도안이 교사 주도적인 수업을 강조하던 과거의 흐름에 따른 이름이라면, 교수-학습 과정안은 보다 학생 중심적이고, 구성주의적인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면 수업 전에 수업의 전반적인 모습과 구체적인 부분에 대해서 생각할 기회를 갖게 된다.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특성과 참여를 예측해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수업의 흐름과 과정을 준비하고, 필요한 준비물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과정 중심 평가 준비를 통해서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이해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피드백을 준비할 수 있다.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는 것은 수업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2021. 10. 28.
과학수업의 계획: 단원 지도 계획 단원 지도 계획은 학년 지도계획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사이 수준에 위치한다. 학년이나 학기 지도계획 수립을 통해서 전체적인 계획을 완성한 후에는 단원계획을 세울 수 있다. 교사용 지도서의 단원 지도계획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단원은 2015 교육과정의 영역 수준에 해당한다. 중학교 과학에는 한 학년에 8개 내외의 단원이 있으며, 지구과학 I은 고체지구, 대기와 해양, 우주의 3개의 단원이 있다. 학교급이 올라갈 수록 단원의 수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단원 지도 계획 단원 지도 계획은 학년이나 학기 지도 계획과 같은 장기계획과 부합되어야 하며, 해당 단원 전체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조망을 할 수 있도록 단원의 내용과 특성을 반영한다. 단원 지도 계획에 포함되는 요소는 단원의 성격, 단원의 목표, 단원 .. 2021.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