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30

기후 위기 교육을 위한 새로운 이론적 렌즈 1990년대말에서 2000년대 초에 사회과학 분야에서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 ANT)과 신유물론과 같은 새로운 동향이 나타났다. 이는 근대화와 근대화의 기반인 이원론에 대한 비판과 관련이 깊다. 인간과 사회 현상의 이해와 관련하여 어쩌면 패러다임 쉬프트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ANT와 신유물론은 많은 공통적인 기반을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는 그동안 당연시 되어왔던 이분법적 인식론을 거부하는 것이다. 인간/비인간, 사회/자연, 주관/객관, 가치/사실, 거시/미시 .. 2023. 8. 27.
기후 위기와 학교 시민과학 동아리 활동 대기환경 시민과학 학교 동아리 활동 프로젝트에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했다. 준비한 테크놀로지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었다. 하나는 탐구활동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의사소통을 위해서 사용되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탐구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학교 환경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그림 1과 같이 아두이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엠블록을 프로그래밍 언어로, ThingsBoard를 IoT플랫폼으로 선정하였다. 그 외 측정 센서 및 모듈로 온습도 센서, 미세먼지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를 선택하였으며, 통신을 위해서 WiFi모듈을 선택하였다(가석현, 2021; Ga et al., 2021). 교사와 학생이 정보기술 접근이나 활용에 대한 거부감이나 두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 2023. 8. 27.
기후 위기와 시민과학교육 기후 위기 대응 실천역량 탐색을 통해 목표를 구체화한 후에는 학교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2015 국가교육과정에는 기후변화 관련 내용이 제한적으로 제시되어 있어서  정규 수업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창의적 체험활동 기회를 활용한 두 가지 유형의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하나는 사회적 실천을 포함하는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이고, 다른 하나는 기후변화 시민과학 동아리 활동이었다. 두 유형 모두 과학 탐구, 해결 방안 모색, 사회적 실천과 같은 세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기후 위기 대응 실천역량 향상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성과를 보였다. 한편 시민과학자는 과학적 소양을 갖춘 미래 시민의 이상적인 모습으로 생각되었다. 개인과 지역사회의 .. 2023. 8. 22.
기후 위기와 교육 분야의 동향 기후 위기 시대에 교육의 중요성과 교육의 전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도 기후 위기에 대한 시민의 과학적인 이해와 참여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기에 교육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 동안 교육 분야는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다. 교육 목적의 거시적 동향을 북미 중심으로 살펴보면 1600년대 이래의 표준화 교육 시대, 20세기의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1960년대 이후의 민주 시민성 교육, 그리고 21세기의 체계적 지속가능성 교육으로 요약할 수 있다(Davis et al., 2015). 표준화 교육은 당시 사회가.. 2023.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