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 지도 계획은 학년 지도계획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사이 수준에 위치한다. 학년이나 학기 지도계획 수립을 통해서 전체적인 계획을 완성한 후에는 단원계획을 세울 수 있다. 교사용 지도서의 단원 지도계획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단원은 2015 교육과정의 영역 수준에 해당한다. 중학교 과학에는 한 학년에 8개 내외의 단원이 있으며, 지구과학 I은 고체지구, 대기와 해양, 우주의 3개의 단원이 있다. 학교급이 올라갈 수록 단원의 수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단원 지도 계획
단원 지도 계획은 학년이나 학기 지도 계획과 같은 장기계획과 부합되어야 하며, 해당 단원 전체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조망을 할 수 있도록 단원의 내용과 특성을 반영한다. 단원 지도 계획에 포함되는 요소는 단원의 성격, 단원의 목표, 단원 내용의 구성, 단원의 수업 진행, 수업별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자료, 과정중심 평가, 관련 단원 등이 있다.
단원의 성격은 때로는 단원 개관, 단원의 설정 이유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단원 내용의 중요성과 특성, 지역이나 일상 생활과 관련성, 그리고 단원 내용과 관련된 학습자의 선개념이나 흥미, 어려워하는 이유, 진로와 관련성 등을 포함한다. 단원의 목표는 학년이나 학기 지도 계획에 제시된 목표 중에서 관련있는 것을 균형있게 반영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가급적 주요 영역별로 구분하여 진술한다. 단원의 수업 차시에는 단원 전체 학습 시간에 다룰 내용을 시간별로 구분하여 나열한다. 학습 목표와 주제의 특성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감안하여 소요 시간을 결정하고, 주요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한다. 교수-학습 자료에는 교수-학습 활동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며, 탐구를 위한 실험 기자재, 자료 해석을 위한 데이터, 스마트 학습을 위한 테불릿, ICT 교수-학습 자료 등이다. 과정 중심 평가를 위한 평가 방법이 차시마다 제시되며, 마지막에는 관련 단원을 정리하여 포함시킨다. 관련단원은 과학 교과 내의 단원이 주가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학이나 사회와 같은 관련 교과의 단원일 수도 있다. 관련 단원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교육과정의 전체적 흐름 속에서 현 단원의 위치와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은 2009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과학교과서의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단원 지도 계획의 예시이다(이성묵 외, 2012). 2009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2015교육과정과 단원 학습계열을 비롯해서 단원 내용과 평가 방식에서 다른 점이 있다. 따라서 내용보다는 단원 지도 계획의 형식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단원 개관에서 전반적인 성격을 제시하고 있으며, 단원 학습 계열에서 전체 과학 교육과정에서 이 단원의 위치를 제시하고 있다. 단원의 개념구조도를 통해서 이 단원에서 다루는 개념 사이의 관계를 제시하고 있으며, 단원 학습 목표에서 12개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차시별 목표로 연결된다. 단원 학습 평가에서는 평가를 위한 초점을 제시하고 있다. 단원 지도상 유의점에서는 단원 학습 목표에서 다루지 않은 단원 내용과 관련된 태도나 인식의 함양과, 실생활과 관련성 등을 감안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단원 학습 지도 계획에서는 차시 배분과 주요 학습 주제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비교적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단원 지도 계획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단원 학습 계열이 과학과 내부에 국한되고 타교과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단원 학습 목표와 단원 학습 지도 계획의 차시 내용에서 해양에 대한 중요성과 아름다움 인식, 긍정적인 태도나 참여 및 평생 교육 역량 함양 등과 같은 교육과정의 중요한 목표가 균형있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2015 교육과정의 입장에서 볼 때 과정 중심 평가를 단원 학습 지도 계획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2015교육과정에 기반한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교사용지도서(김성진 외, 미래앤) 에 제시된 단원 지도 계획의 예는 다음과 같다. 구성 요소는 단원의 개관, 단원의 학습요소, 단원의 성취기준, 탐구 활동, 단원의 지도 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단원의 학습요소, 성취기준, 탐구활동은 교육과정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단원의 개관에서는 과학적 탐구 과정 체험과 과학적 태도, 실생활 문제 해결에 기반한 과학 탐구의 유용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목표에 대한 부분을 많이 고려했음을 보여준다. 지도계획에서는 차시 배정과 차시별 학습내용과 탐구활동, 과정중심평가를 평가계획으로 제시하고 있어서 2015 교육과정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구)과학 교육자를 위한 내용 > 과학 수업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경험한 좋은 과학 수업 (0) | 2022.09.04 |
---|---|
과학 교수-학습 과정안 (0) | 2021.10.28 |
과학 수업 전문성 (0) | 2021.09.07 |
과학 교수-학습의 계획: 학년/학기 지도계획 (0) | 2020.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