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30

현장학습: 야외 지질답사 학습 교실이나 실험실은 학습을 위한 환경을 비교적 잘 갖추고 있으나, 실제적인 자연환경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현장학습은 교실이나, 실험실에서 접할 수 없는 현상이나 사물에 대한 직접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또한 교실에서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서 확인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Orion, 1989). 지구과학은 교실에서 제공할 수 없는 시공간적 규모를 가진 실제 자연현상을 탐구하기 때문에 현장학습이 더 중요하다. 지구과학 학습과 관련된 현장학습장은 지질학습장, 지질공원, 천문대, 기상대, 갯벌, 과학관, 자연사박물관, 해양박물관, 석탄박물관, 화석박물관, 지구과학 관련 연구기관(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수자원공사 등)의 전시시설 등.. 2021. 10. 16.
V도 V도는 V다이아그램, 인식론적V, V발견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다. 노박과 고윈(1984)은 과학 실험의 본질과 목적을 밝히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새로운 지식을 얻는 5가지 질문 절차를 추출하였다. (1) 문제(명확하고 유효한 질문)가 무엇인가? (2) 관련되는 주요 개념은 무엇인가? (3) 어떤 탐구 방법이 사용되었는가? (4) 주요 지식 주장은 무엇인가? (5) 주요 가치 주장은 무엇인가? 이러한 절차를 익힘으로서 학생들이 주어진 절차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을 벗어나서 스스로 과학 탐구 활동의 방향과 의미를 인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5가지 질문 절차를 알기 쉽게 시각화하기 위해서 V도를 개발하였다. V도의 구성은 그림 1과 같다. V의 왼쪽 날개는 이론적, 개념적 측면을 .. 2021. 10. 12.
개념도(Concept map) 개념도(Concept map) 개념도는 오슈벨(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meaningful learning)에 바탕을 두고 있다. 오슈벨에 따르면 사람들은 정신 속에 인지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인지구조는 당시에 알고 있는 정보가 조직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인지구조에 포함된 정보는 현재의 지식 체계를 의미하며, 학습 시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실, 일화, 개념, 원리, 이론 등이 포함된다. 오슈벨은 인지구조가 위계적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이는 인지구조 내에서 더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정보가 더 상위에 배치되고, 구체적이고 특수한 정보가 하위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오슈벨은 새로 학습할 내용이 학습자의 기존 인지구조의 관련된 부분과 어떤 연관을 갖는 학습을 가리켜서 유의미.. 2021. 10. 12.
과학 순환학습모형(Learning Cycle) 순환학습은 1960년대와 70년대 초에 걸친 미국의 과학교육 혁명기에 개발된 과학교육과정발전연구(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 SCIS) 연구진이 처음 개발하였다. SCIS는 당시 개발된 초등 과학교육과정 중 하나이며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순환학습 모형은 처음에는 초등학생에게 과학의 기본 개념 학습을 촉진하고 사고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개발되었으나, 그 후 여러 연구를 통하여 중등과 고등교육에서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순환학습모형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활용하여, 학생들 중심의 자유로운 탐색과 교사의 안내가 잘 조화된 학습모형이다. 이 모형은 탐색, 개념도입, 개념적용의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탐색 단계에서는 학생 중심의 관찰,.. 2021.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