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과학 교육자를 위한 내용24

개념도(Concept map) 개념도(Concept map) 개념도는 오슈벨(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meaningful learning)에 바탕을 두고 있다. 오슈벨에 따르면 사람들은 정신 속에 인지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인지구조는 당시에 알고 있는 정보가 조직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인지구조에 포함된 정보는 현재의 지식 체계를 의미하며, 학습 시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실, 일화, 개념, 원리, 이론 등이 포함된다. 오슈벨은 인지구조가 위계적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이는 인지구조 내에서 더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정보가 더 상위에 배치되고, 구체적이고 특수한 정보가 하위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오슈벨은 새로 학습할 내용이 학습자의 기존 인지구조의 관련된 부분과 어떤 연관을 갖는 학습을 가리켜서 유의미.. 2021. 10. 12.
과학 순환학습모형(Learning Cycle) 순환학습은 1960년대와 70년대 초에 걸친 미국의 과학교육 혁명기에 개발된 과학교육과정발전연구(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 SCIS) 연구진이 처음 개발하였다. SCIS는 당시 개발된 초등 과학교육과정 중 하나이며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순환학습 모형은 처음에는 초등학생에게 과학의 기본 개념 학습을 촉진하고 사고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개발되었으나, 그 후 여러 연구를 통하여 중등과 고등교육에서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순환학습모형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활용하여, 학생들 중심의 자유로운 탐색과 교사의 안내가 잘 조화된 학습모형이다. 이 모형은 탐색, 개념도입, 개념적용의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탐색 단계에서는 학생 중심의 관찰,.. 2021. 9. 27.
귀추법 귀추법은 미국의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퍼스(C. Peirce: 1839~1914)가 처음으로 제안하였으며, Hanson을 비롯한 다른 학자들에 의해 더 정교화되었다. 귀추적 사고의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떤 놀라운 현상(들), P(p1, p2 p3, ...),이 관찰된다. 2. 만일 가설 H가 참이라면, P(p1, p2 p3, ...)는 당연한 것이 되고, H를 이용하여 이를 설명할 수 있다. 3. 따라서 가설 H가 참이라고 생각할 좋은 이유가 있다. 지구과학 탐구 사례를 귀추법을 적용하여 생각해보자. 1.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킴벌리 지역에 있는 화도(volcanic pipes)에서 다이아몬드가 많이 산출된다. (q) 2. 탄소는 산소가 없으며, 압력이 55kb 이상, 온도가 1,00.. 2021. 9. 25.
지구과학 탐구의 목적과 맥락 지구과학 탐구의 목적과 맥락 지구과학 탐구의 목적에는 인과적 탐구와 역사학적 탐구의 두가지가 있다. 인과적 탐구는 지구와 우주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화성암이나 변성암의 생성 과정, 퇴적암이 퇴적된 환경과 과정, 일식이나 월식의 발생 과정 등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예이다. 반면에 역사학적 탐구는 지구와 우주에서 일어난 사건의 연대표 또는 시간적으로 연속성을 갖는 특정한 주장을 얻고자 한다. 지구의 역사를 탐구할 때에는 지층을 주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 때 지층은 생성된 특정 시기에 국한되며, 자체의 독특한 속성을 가지며, 생성 당시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지사학(historical geology)이라는 분야가 역사학적 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예이다. 지구과학에서 인과적 .. 2021. 9. 25.